본문 바로가기

백신고 영어내신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외부지문 독해자료12

디지털드리머 2022. 4. 9.

12.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Starting from birth, babies are immediately attracted to faces. Scientists were able to show this by having babies look at two simple images, one that looks more like a face than the other.

 

(A) These changes help the organisms to survive, making them alert to enemies. By being able to recognize faces from afar or in the dark, humans were able to know someone was coming and protect themselves from possible danger.

 

(B) One reason babies might like faces is because of something called evolution. Evolution involves changes to the structures of an organism(such as the brain) that occur over many generations.

 

(C) By measuring where the babies looked, scientists found that the babies looked at the face-like image more than they looked at the non-face image. Even though babies have poor eyesight, they prefer to look at faces. But why?

 

 

① (A) - (C) - (B)

 (B) - (A) - (C)

 (B) - (C) - (A)

 (C) - (A) - (B)

 (C) - (B) - (A)

 

 


문제풀이 요령

 

순서나열 문제 입니다. 순서나열은 문제는 접속사와 접속부사 그리고 각 문장의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을 유심히 봐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자연스럽게 순서가 나열될 수 있도록 배치를 합니다. 먼저, 주어진 글을 정확하게 해석해 봅니다.

 

'태어나면서부터, 아기들은 즉시 얼굴에 마음이 끌린다. 과학자들은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욱 얼굴 같아 보이는 두 개의 이미지를 아기들이 보게 함으로써 이 사실을 보여줄 수 있었다.'

 

문제의 순서대로 (A)를 먼저 읽어보면, these change (이러한 변화들) 이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주어진 문장에서는 변화라는 내용이 나오지 않으므로 (A)가 가장 먼저 올 수 없습니다. (B)의 두번째 문장에서 '진화는 변화를 수반한다'라는 내용이 나오므로 (A)는 (B) 뒤에 나와야 합니다.

 

그 다음 (B)를 읽어보면, one reason 으로 시작하며, 주어진 문장 다음에 와도 무방할 것 처럼 보이지만, (C)를 마저 읽어보면 마지막 문장 'But why?' (그렇지만 왜 일까?) 때문에 (C) 다음에 (B)가 이어지는것이 더 자연스럽니다.

 

정리하면, (B) - (A)와 (C) - (B) 의 순서 입니다. 즉, 정답은 ⑤ (C) - (B) - (A) 입니다.

 

 


문법구조

 

파란색은 주어, 빨간색은 동사입니다. 지문을 읽으면서 항상 주어와 동사의 관계 파악에 유의합니다.

 

1. be able to : ~ 할 수 있다

 

2. 해당 문장에서 this는 지시대명사로, 앞문장의 내용을 의미합니다.

 

3. that 은 주격 관계대명사이며 앞의 one을 수식합니다.

 

4. 지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that 의 대표적 쓰임새를 설명하겠습니다. 아래의 정리된 내용을 참고 바랍니다.

 

1) that, that car -> 지시대명사, 지시형용사 -> 저것, 저- 라고 해석됩니다. 

2) 명사 + that S + V -> 관계대명사 목적격 -> 앞의 명사를 수식해줍니다. (that 생략가능)

   명사 + that V + O -> 관계대명사 주격 -> 앞의 명사를 수식해줍니다.

3) 동사 + That S + V + O -> 명사절 접속사 -> 앞의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that 생략가능)

4) 명사 + that S + V + O -> 동격의 that -> 앞의 명사와 동격입니다.

 

 

1. By ~ ing : ~ 함으로써

 

2. 해당 문장에서 that은 동사 뒤에 나왔으므로 명사절 접속사이며, found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특히, 생략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하면 좋습니다.

 

1. help 는 5형식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격보어) 동사이며, 목적격 보어로 '원형부정사'와 'to 부정사'가 둘 다 올수 있습니다.

 

2. making의 경우 앞에 콤마( , )와 문장 (주어와 동사를 포함한 절) 이 있으므로 분사구문 형태 입니다. 분사구문은 접속사가 생략된 상태로 문맥에 맞춰 적당한 접속사를 넣어 해석합니다. 여기서는 'While'를 넣어 '~하게 만드면서' 라고 해석합니다.

 

분사구문의 예, 

 

I hurt my arm, While I played soccer.

(나는 축구를 하면서 내 팔을 다쳤다)

 

위의 문장에서 주어가 두 번 나왔습니다. 이 경우 접속사절의 접속사와 주어를 지워주고 동사에 ~ing를 붙여줍니다.)

 

I hurt my arm, (While I) played soccer.

-> I hurt my arm, playing soccer.

 

위와 같이 분사구문 문장을 보면 이미 접속사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문맥에 맞게 접속사를 넣어 해석하면 됩니다. 

 

 


본문해석

 

Starting from birth, babies are immediately attracted to faces.

 

태어나면서부터, 아기들은 즉시 얼굴에 마음이 끌린다.

 

Scientists were able to show this by having babies look at two simple images, one that looks more like a face than the other.

 

과학자들은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욱 얼굴 같아 보이는 두 개의 이미지를 아기들이 보게 함으로써 이 사실을 보여줄 수 있었다.

 

By measuring where the babies looked, scientists found that the babies looked at the face-like image more than they looked at the non-face image.

 

아기들이 어디를 보는지 측정함으로써, 과학자들은 아기들이 얼굴 같아 보이는 이미지를 얼굴이 아닌 이미지보다 더 쳐다본다는 것을 발견했다.

 

Even though babies have poor eyesight, they prefer to look at faces.

 

심지어 아이들이 좋지 않은 시력을 가졌음에도, 그들은 얼굴을 보는 것을 더 선호 했다.

 

But why?

 

그렇지만 왜일까?

 

One reason babies might like faces is because of something called evolution.

 

아기들이 아마도 얼굴을 좋아하는 이유는 진화라고 불리는 어떤 것 때문이다.

 

Evolution involves changes to the structures of an organism(such as the brain) that occur over many generations.

 

진화는 많은 세대에 걸쳐 발생하는 유기체(뇌와 같은) 구조의 변화를 수반 한다.

 

These changes help the organisms to survive, making them alert to enemies.

 

이러한 변화는 적들에 대해 유기체가 경계를 하도록 함으로써 유기체가 살아남도록 도와준다.

 

By being able to recognize faces from afar or in the dark, humans were able to know someone was coming and protect themselves from possible danger.

 

먼 거리나 어둠속에서 얼굴을 알아보게 함으로써, 인간은 누군가 다가오고 있는 것을 알고 발생 가능한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 할수 있었다.

댓글